우주정보 웜홀 뜻 설명 알아보기
웜홀은 블랙홀과 화이트홀의 연결 통로이다.블랙홀은 빛도 빨아들이고 화이트홀은 빛을 내뱉는다.그래서 화이트홀과 블랙홀의 연결 통로로 알려져있다.그러나 화이트홀의 존재 여부가 확실하지 않다.그래서 웜홀은 블랙홀과 블랙홀끼리 연결한 순간 이동을 위한 통로라는 설이 현재 가장 신빙성있다.사과 표면에 있는 벌레가 있다고 가정한다.그러면 벌레가 사과의 정 반대로 가려면 표면을 따라가면 느리다.사과의 중심을 뚫고 지나가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이때 사과에 중심을 관통하는 웜홀이 생긴다.이 웜홀은 사과의 표면보다 고차원적이다.그리고 서로 다른 사과와 사과의 표면을 잇는 가장 단시간의 통로가 될 수 있다.이와 비슷하게 시간과 공간의 다른 지점을 연결하는 고차원의 구멍이라는 뜻에서 웜홀이라는 이름이 생겼다.블랙홀이 회전하면 그 속도가 엄청 빠르다.그래서 속도가 만드는 회오리가 웜홀로 바뀐다.시간과 공간을 잇는다는 의미에서 시간과 공간의 통로라고 여겨지기도 한다.지나가는 속도가 광속보다도 빠르다.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면 이 통로를 지나 화이트홀로 나온다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1907년 아인슈타인은 관성력은 중력과 같다는 유명한 명언을 주목했다.그래서 등가 원리라는 개념을 만들었다.등가란 중력과 관성력이 같은 가치라는 뜻을 말한다.이것을 더 크게 넓혀서 아인슈타인은 1915년 유명한 일반 상대성이론을 만들었다.이 이론은 질량과 관계된 중력에 의해 시간과 공간의 휘어짐을 말한다.이 휘어진 공간에 관한 수학적인 이론으로 리만 기하학을 사용했다.이 사실은 빛의 휘어짐이란 게 그 증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1919년 영국의 물리학자인 아서 에딩턴이 태양 주위의 공간이 휘고, 별빛이 휘는 것을 주목했다.휘어지는 현상을 관측을 통해 입증했다.일반 상대성이론의 가장 괄목할 만한 부분을 바로 블랙홀을 미리 예측했다는 것이다.블랙홀이란 강한 중력이 작용하는 아주 좁은 공간이 있다.그리고 공간이 아주 크게 구부러져 빛이 빠져나오지 못하는 부분을 말한다.웜홀이란 아인슈타인 이론을 적용하여 블랙홀을 설명할 때 항상 적용되는 것이다.이것은 아인슈타인과 로젠의 다리라고 하기도 한다.처음에는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연결하고 있는 것이 웜홀이라고 했다.그러나 화이트홀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했다.따라서 블랙홀화 화이트홀을 연결한다는 가정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화이트홀이 유효하지 않다고해서 웜홀 자체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그렇지만 이론에서 말하는 웜홀이 아주 적은 확률에서만 있다는 것이 일반적이다.그러나 킵 손 박사는 일반적이지 않은 특정한 조건을 가정한다.그러면 웜홀이 안정적으로 만들어지고 웜홀을 통해 우주 여행까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이후 웜홀의 한쪽 입구를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그리고 다시 돌아오면 시간 지연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아냈다.그러면 시간 여행의 가능성이 커진다.그러나 현재 웜홀은 10에서 33센티미터 정도의 양자 웜홀만 가능하다. 그것은 시간 여행까지 할 정도로 크지 않다.최근 웜홀을 양자의 꼬임 현상으로 설명하는 움직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