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정보 위성 가니메데 신화 특징 발견 알아보기
가니메데는 목성의 위성이다.태양계의 위성들 중 가장 크고 밝다.목성에서 평균 거리 순으로 일곱 번째이다.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세 번째에 위치한다.가니메데는 지름 5,262킬로미터로 행성인 수성보다 8퍼센트 길다.질량은 수성의 45퍼센트에 불과한다.또한 달의 2배이다.태양계의 위성 중 두 번째로 큰 토성의 위성 타이탄보다 지름은 2퍼센트 더 크다.질량은 10퍼센트 무겁다.지구의 달과 비교하면 지름은 51퍼센트 더 크다.질량은 2.02배이다.가니메데는 규산염 암석과 얼음이 거의 동일한 비율로 이루어져 구성되어 있다.
구조는 잘 분화된다.중심의 철이 풍부한 액체 상태의 핵과 얼음과 지하 바다가 번갈아가며 여러층을 이룬다.가니메데의 표면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어두운 부분은 40억 년 전에 생긴 충돌구가 있다.이와 함께 위성 표면의 삼분의 일 가량을 덮어놓고 있다.그보다 오래되지 않은 균열과 능선이 가로지르고 있는 밝은 부분이 나머지를 덮는다.밝은 지역의 균열과 능선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조석 가열에 의한 판의 이동 때문이라는 설이 정석이다.가니메데는 태양계에서 자체 자기장이 있는 유일한 위성이다.액체 핵의 대류 현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한다.약한 자기장은 목성의 커다란 자기장에 묻혀 장선의 요동으로 표시된다.또한 미량의 수소가 대기에 존재한다.아주 옅은 산소 대기층이 있다.이 안에는 산소 원자와 산소 분자와 오존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대기권에 전리층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불투명하다.가니메데는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0년 1월 7일에 첫 발견을 이뤄냈다.위성의 이름은 천문학자인 시몬 마리우스가 의견을 냈다.가니메데의 어원은 그리스 신화에서 왔다.그리스 신들의 술시중을 든 인물이자 제우스가 연정을 품은 가니메데스에서 따온 것이다.파이어니어 10호 이래로 탐사선들이 가니메데를 세밀하게 관측하기 시작했다.보이저는 행성의 크기를 새로 측정했다.갈릴레오 호는 자기장과 지하 바다를 발견하였다.훗날 다른 목성 탐사 계획도 있다.2022년에 발사될 예정인 유럽우주국의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이 있다.이 탐사선은 갈릴레이 위성 중 세 개의 얼음 위성을 근접 통과한다.감속한 후 가니메데 선회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1610년 1월 7일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목성 주변에 3개의 별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처음에는 가니메데와 칼리스토를 발견하였다.나중에는 목성과 거의 붙어 있던 이오와 유로파도 발견하였다.다음 날 밤에 그 빛이 움직이는 것이 관찰되었다.그리고 1월 13일에도 갈릴레이는 한 번에 4개의 위성을 모두 보고 있었다. 적어도 한 개의 위성이 전 위치에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1월 15일에 갈릴레오는 그 빛들이 목성 주위를 움직인다고 추론하였다.갈릴레이는 위성의 작명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였다.이 별을 우주의 별로 보았다.그래서 이름을 메디치 가문의 별로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