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정보

우주정보 이오 위성 특징 관측 역사 알아보기

반지상 2020. 2. 29. 13:30

 이오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이다.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다.지름은 3,642킬로미터이다.태양계에서 네 번째로 큰 위성이다.목성의 위성 중 세 번째로 크다.이 위성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의 연인 중 한명이자 헤라의 여사제인 이오를 따서 붙여졌다.400개 이상의 활화산을 가진 이오는 태양계에서 지질학적으로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는 위성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오의 극단적인 지질 활동은 조석 가열의 영향 때문이다.목성과 다른 갈릴레이 위성인 유로파와 가니메데와 칼리스토가 밀고 당겨 생기는 힘이 있다.여러 화산들은 표면 위 500킬로미터까지 황과 이산화 황의 연기를 뿜는다.이오의 표면은 규산염 지각에서 벌어지는 압축에 의해 생긴 100개 이상의 산이 덮혔다.그 중 일부는 에베레스트 산보다 더 크다고 한다.이오의 구성은 다른 태양계에 있는 위성들과 매우 다르다.외태양계의 위성들은 주로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다.반면 이오는 용융 상태의 철과 철 핵을 둘러싼 규산염 암석이 대부분이다.표면은 황과 이산화 황의 서리로 덮여 있다.이오의 화산들은 독특한 기능을 각각 담당하고 있다. 화산 폭발로 파편을 날리고 용암을 흐르게 한다.그래서 표면을 노란색과 빨간색과 흰색과 검은색과 초록색 황 화합물로 덮는다.광범위한 용암 분출은 500 킬로미터 범위까지 퍼져나간다.표면에 자국을 남긴다.이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물질들은 이오의 표면을 얇게 덮는다.또한 얕은 대기를 형성한다.일부는 목성의 광범위한 자기권에 들어가기도 한다.이오의 화산 분출물들은 목성에 엄청난 크기의 플라즈마 고리를 형성한다.이오는 17세기에서 18세기 천문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이었다.이오는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견했다.다른 위성들과 묶여 갈릴레이 위성으로 불린다.이오의 발견은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설을 채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요하네스 케플러의 운동 법칙을 개발하는 계기가 되었다.최초의 빛 속도 측정 대상이 되었다. 지구에서 이오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극은 붉고 적도 쪽은 밝다는 것까지 알려졌다.그 후 표면의 대규모 용암 형상을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1979년에 두 대의 보이저 탐사선은 이오가 지질학적으로 활발한 위성임을 밝혀 냈다.거대한 화산들과 충돌구들이 비정상적으로 젊다는 것도 관측하였다.갈릴레오 호은 1990년도와 2000년도에 이오를 지나치며 관측했다.이오의 내부 구성과 표면 조성에 대한 정보를 얻어냈다.또한 2000년에 카시니 하위헌스 호와 2007년 뉴 허라이즌스 호가 목성을 지나치며 이오를 관측했다.지구의 허블 우주 망원경도 계속해서 이오를 관측중이다.이오는 표면에서 광범위하게 일어난 화산 활동으로 분출된 규산염 광물과 황과 이산화 황 등 다양한 물질이 뒤덮고 있다.그래서 색이 다채롭고 화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