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정보

우주정보 외계 생명 존재 가설 탐사 알아보기

반지상 2020. 3. 10. 11:51

 외계생명은 지구가 아닌 공간에 사는 생명을 지닌 존재를 가리킨다.다른 명칭으로 외계생물 또는 사람에 빗댄 외계인 등이 있다.지구 상의 생명체는 탄소 화합물과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화학 반응에 기저한다.이들 원소의 풍부함과 유용함은 외계의 생명체도 비슷한 방식을 사용한다고 추측된다.탄소 대신 실리콘이나 물 대신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대체생화학도 있다.생명체가 사용하는 에너지의 근원은 항성의 열이다.그 외에 무엇이 있을까?행성 내부의 열도 있을 수 있다.또한 기조력에 의한 마찰열을 에너지원으로 할 수도 있다.학자들은 각 행성들마다의 기후 및 대기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가능성을 토대로 한다.그래서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여러가지 모습의 외계인을 표현하기도 한다.세계에서 가장 먼저 외계 생명의 존재를 주장한 사람은 16세기 이탈리아의 철학자 조르다노 브루노이다.조르다노 브루노는 우주는 무한하므로 지구 말고도 많은 행성계가 있다.그리고 다른 행성도 지구처럼 생물이 존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아울러 갈릴레이와 코페르니쿠스 같은 당대의 유명한 학자들도 우주는 무한히 넓다.그 때문에 다른 생물체가 살고 있다고 강력히 주장했다.유럽 대륙에서는 르네상스 시대에 접어들면서 천문학이 발달되었다.다윈의 진화론에 입각해서 넓고 넓은 우주에 외계인 존재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의견이 팽배했다.한국에서는 조선 중기의 실학자 홍대용이 중국의 우주 서적을 가져왔다.그리고 외계인의 존재에 대해 최초로 언급한 사람이었다.동물원 가설은 물리학자인 다윈의 이론이다.우주 안에 있는 지적 생명체가 생명체의 다양성을 위해 지구에는 오지 않는다는 것이다.이는 다윈의 진화론과 일맥상통한다.종족의 보존과 유지를 위해서 지구에 살고 있는 인간보다 더욱 뛰어난 외계 종족들은 지구를 위해 지구에 방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일부러 지구에 접근하지 않고 다른 행성들을 탐사한다는 가설이다.만약 지적 생명체가 지구에 멋대로 접근하여 지구에 있는 인간들을 멸종시키게 된다고 가정하자.그러면 우주의 생태계가 망가진다.따라서 지적 생명체가 아무리 우주 안에서 모든 분야가 발달되었다고 해도 지구에 방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또한 지구 외에 다른 행성에도 절대 접근하지 않는다.실제로 지구 내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은 아주 다양하다.햇빛이 전혀 닿지 않는 지하 깊숙한 곳이나 심해에서도 생명체가 살고 있다.심지어 산소 없이 살아가는 생물도 발견되고 있다.이를 보기만 하더라도 과학자들의 주장이 일부 맞을수도 있다.미생물 수준의 생명체는 우주에서 흔할 것이다.어쩌면 태양계 내에서도 존재할 수도 있다.이웃 행성인 화성 및 목성의 위성 유로파와 토성의 위성 타이탄의 환경이 지구의 극한 환경과 크게 다르지 않다.이들 천체에서는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이 있다고 본다.태양계 내에서 생명체를 찾는 방법은 탐사선을 직접 보내는 방식이 가장 정확하고 확실하며 안전하다.미국의 NASA는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 내부의 생명체 탐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또 일부 탐사선은 화성에서 물의 존재를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