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우주정보 #우주대폭발 #우주대폭발 역사 #우주대폭발 연대기 #우주대폭발 기원
- #우주정보 #토성 크기 #토성 공전주기 #토성 밀도 #토성 내부구조 #토성 질량
- #우주정보 #칼리스토 특징 #칼리스토 물리적 성질 #칼리스토 구성 #칼리스토 생명체 존재 가능성
- #우주정보 #가니메데 신화 #가니메데 특징 #가니메데 발견 #가니메데 구성요소 #가니메데 크기
- #우주정보 #화성 이름유래 #화성 크기 #화성 온도 #화성 자전주기
- #우주정보 #해왕성 대기 #해왕성 특징 #해왕성 위성 #해왕성 이름유래
- #우주정보 #카론 특징 #카론 이름유래 #카론 발견 #카론 크기 #카론 구성요소
- #우주정보 #위성 레아 특징 #레아 관측 사진 #레아 구조 #레아 충돌구 #레아 이름 유래
- #우주정보 #명왕성 태양계 퇴출 이유 #명왕성 구성 요소 #명왕성 발견 #명왕성 공전주기
- #우주정보 #우주쓰레기 #우주쓰레기 존재 #우주쓰레기 궤도 #우주쓰레기 연구
- #우주정보 #목성 크기 #목성 구성물질 #목성 핵 #목성 질량
- #우주정보 #외계행성 #외계행성 발견 #외계행성 역사 #외계행성 특징
- #우주정보 #유로파 크기 #유로파 생명체 존재 가능성 #유로파 발견 #유로파 이름 유래 #유로파 표면
- #우주정보 #해왕성 위성 #트리톤 특징 #네레이드 특징 #네소 특징 #규칙 위성 #불규칙 위성
- #우주정보 #외계 행성 존재 가능성 #외계 행성 가설 #외계 행성 탐사 #외계 행성 특징
- #우주정보 #이오 특징 #이오 관측 역사 #이오 표면 #이오 지질 활동
- #우주정보 #금성 이름유래 #금성 밝기 #금성 온도 #금성 내부구조
- #우주정보 #달 특징 #달 지형 #달 형성과정 #달 구성요소
- #우주정보 #우주 속 암흑물질 #암흑물질 특징 #암흑물질 발견자 #암흑물질 정체
- #우주정보 #별 특징 #별 크기 #별 질량 #별 궤도
- #우주정보 #세레스 특징 #세레스 발견 #세레스 관측 #세레스 위치
- #우주정보 #지구 형성 과정 #바다 형성 과정 #대기 형성 과정 #지구 특징
- #우주정보 #적색왜성 특징 #적색왜성 존재 #적색왜성 구성 요소 #적색왜성 생명체 거주 가능성
- #우주정보 #타이탄 특징 #타이탄 발견 #타이탄 생명체 거주 가능성 #타이탄 색깔
- #우주정보 #프록시마 b의 특징 #프록시마 b 발견 #프록시마 b 생명체 거주 가능성 #프록시마 b 구성요소
- #우주정보 #천왕성 거리 #천왕성 발견자 #천왕성 온도 #천왕성 날씨
- #우주정보 #에리스 특징 #에리스 이름 유래 #에리스 관측자 #에리스 크기
- #우주정보 #웜홀 뜻 #웜홀 설명 #웜홀 속도 #웜홀 움직임
- #우주정보 #수성 크기 #수성 질량 #수성 표면 #수성 밀도
- #우주정보 #우주복 #우주복 특징 #우주복 비밀 #우주복 무게
- Today
- Total
26초전
우주정보 행성 카론 특징 이름 유래 알아보기 본문
카론은 왜소행성 명왕성에서 발견된 위성 중에서 가장 큰 위성이다.1978년에 워싱턴 DC에 위치한 미군 해군 천문대가 발견한 위성이다.명왕성에 비해 크기가 아주 크고 높은 질량을 가지고 있다.지름은 명왕성의 절반이 넘는다.질량은 명왕성의 11퍼센트 정도이다.그래서 카론의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명왕성계의 질량 중심은 카론과 명왕성 사이에 있다.카론은 미국 해군성 천문대의 천문학자인 제임스 크리스티가 발견했다.발견한 해는 1978년 6월 22일이다.카론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했다.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지옥의 뱃사공 카론에서 따왔다.카론이 모시는 왕이자 명계의 신인 하데스의 영어 이름은 플루토이다.플루토를 명왕성의 영어 이름으로 한 것과 연관성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한다.
2005년 10월 31일 전까지는 카론은 명왕성의 유일한 위성이었다.위성으로서는 질량이 크다.그래서 둘 사이의 우주 공간에 질량 중심이 있다.명왕성과 카론은 그 질량 중심을 공전하는 관계이다.2006년 8월 프라하에서 열린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논란의 주제는 행성의 정의에 대한 것이었다.초안에서는 행성을 태양 주위를 돌고 구형을 유지할 만한 크기와 중력을 가진 것으로 했다.그리고 위성이 아닌 천체로 정의했다.명왕성과 카론의 질량 중심은 두 천체의 바깥에 위치하므로 위성이 아니라는 결론이었다.다른 조건을 이중 행성계로 보았다.그러나 수많은 논의 끝에 결과적으로 통과한 결과에서는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보았다.카론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은 결과만 남았다.2006년에는 에리스와 세레스와 함께 행성으로 승격이 될 뻔 했다.그러나 명왕성이 퇴출되어 없던 일이 되었다.지름은 명왕성의 2분의 1이다.질량은 명왕성의 7분의 1이다.적외선 스펙트럼으로 보면 겉표면은 얼음으로 덮여있는 것으로 예상된다.카론은 명왕성에서 약 2만 킬로미터 떨어져 있다.또한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도 같아서 항상 비뚤어져있다.즉 한쪽 면만 명왕성을 향해 있는 것이다.만약 명왕성에서 카론을 본다면 마치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생각할 것이다.또한 대부분의 위성들이 행성의 적도를 돌고 있다.반면 그와 달리 카론은 명왕성의 남북 방향으로 돌고 있는 것이 차이가 있다.두 천체는 조석력으로 서로 묶여 있다.구성 성분과 구조도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위성이 아니라고 보는 견해와 학파도 있다.1980년대 후반에는 카론이 지구와 명왕성의 사이를 통과했다.그래서 명왕성의 표면 밝기가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었다.덧붙여 이런 현상은 명왕성이 한번만 공전하는 동안 두번이나 일어난다.카론은 평균 밀도가 명왕성에 비해 크다.이것은 메테인 등의 가벼운 물질에 비해 물과 얼음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1999년에 표면의 얼음이 존재한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우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정보 별 항성 특징 크기 질량 알아보기 (0) | 2020.02.28 |
---|---|
우주정보 달의 특징 지형 알아보기 (0) | 2020.02.28 |
우주정보 에리스 행성 특징 이름 유래 알아보기 (0) | 2020.02.28 |
우주정보 명왕성 태양계 퇴출 이유 알아보기 (0) | 2020.02.28 |
우주정보 세레스 특징 발견 알아보기 (0) | 202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