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우주정보 #달 특징 #달 지형 #달 형성과정 #달 구성요소
- #우주정보 #타이탄 특징 #타이탄 발견 #타이탄 생명체 거주 가능성 #타이탄 색깔
- #우주정보 #이오 특징 #이오 관측 역사 #이오 표면 #이오 지질 활동
- #우주정보 #해왕성 위성 #트리톤 특징 #네레이드 특징 #네소 특징 #규칙 위성 #불규칙 위성
- #우주정보 #수성 크기 #수성 질량 #수성 표면 #수성 밀도
- #우주정보 #가니메데 신화 #가니메데 특징 #가니메데 발견 #가니메데 구성요소 #가니메데 크기
- #우주정보 #외계 행성 존재 가능성 #외계 행성 가설 #외계 행성 탐사 #외계 행성 특징
- #우주정보 #우주대폭발 #우주대폭발 역사 #우주대폭발 연대기 #우주대폭발 기원
- #우주정보 #우주쓰레기 #우주쓰레기 존재 #우주쓰레기 궤도 #우주쓰레기 연구
- #우주정보 #위성 레아 특징 #레아 관측 사진 #레아 구조 #레아 충돌구 #레아 이름 유래
- #우주정보 #토성 크기 #토성 공전주기 #토성 밀도 #토성 내부구조 #토성 질량
- #우주정보 #유로파 크기 #유로파 생명체 존재 가능성 #유로파 발견 #유로파 이름 유래 #유로파 표면
- #우주정보 #해왕성 대기 #해왕성 특징 #해왕성 위성 #해왕성 이름유래
- #우주정보 #프록시마 b의 특징 #프록시마 b 발견 #프록시마 b 생명체 거주 가능성 #프록시마 b 구성요소
- #우주정보 #우주 속 암흑물질 #암흑물질 특징 #암흑물질 발견자 #암흑물질 정체
- #우주정보 #에리스 특징 #에리스 이름 유래 #에리스 관측자 #에리스 크기
- #우주정보 #웜홀 뜻 #웜홀 설명 #웜홀 속도 #웜홀 움직임
- #우주정보 #적색왜성 특징 #적색왜성 존재 #적색왜성 구성 요소 #적색왜성 생명체 거주 가능성
- #우주정보 #천왕성 거리 #천왕성 발견자 #천왕성 온도 #천왕성 날씨
- #우주정보 #금성 이름유래 #금성 밝기 #금성 온도 #금성 내부구조
- #우주정보 #별 특징 #별 크기 #별 질량 #별 궤도
- #우주정보 #화성 이름유래 #화성 크기 #화성 온도 #화성 자전주기
- #우주정보 #세레스 특징 #세레스 발견 #세레스 관측 #세레스 위치
- #우주정보 #외계행성 #외계행성 발견 #외계행성 역사 #외계행성 특징
- #우주정보 #지구 형성 과정 #바다 형성 과정 #대기 형성 과정 #지구 특징
- #우주정보 #카론 특징 #카론 이름유래 #카론 발견 #카론 크기 #카론 구성요소
- #우주정보 #목성 크기 #목성 구성물질 #목성 핵 #목성 질량
- #우주정보 #우주복 #우주복 특징 #우주복 비밀 #우주복 무게
- #우주정보 #칼리스토 특징 #칼리스토 물리적 성질 #칼리스토 구성 #칼리스토 생명체 존재 가능성
- #우주정보 #명왕성 태양계 퇴출 이유 #명왕성 구성 요소 #명왕성 발견 #명왕성 공전주기
- Today
- Total
26초전
우주정보 외계행성 발견 역사 특징 알아보기 본문
외계 행성 또는 계외 행성은 태양계 밖의 행성이다.보통 행성은 태양을 공전하는 행성을 말한다.그러나 외계행성은 태양이 아닌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을 말한다.지금까지 3800여 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2018년 6월 23일 기준을 말한다.행성계 2840개에서 행성 3796개이다.이 중 다중행성계는 632개이다.모두 우리 은하 내에 있다.우리 은하에만 수십억 개의 행성이 존재하는 것이 유력한 의견이다.대부분 항성을 돌고 있다.그러나 아주 소수는 홀로 우주 공간을 움직이는 떠돌이 행성이다.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 지구와 가장 가까운 것은 무엇일까?바로 프록시마 b이다.수 세기에 걸쳐 많은 철학자와 과학자들은 외계 행성을 주장했다.반드시 외계 행성이 있을수 밖에 없다고 주장해왔다.그러나 이들의 개수는 몇 개인지 또는 우리 태양계와 외계 행성계가 얼마나 비슷한 구조인지 등 궁금증은 많았으나 해결할수 없었다.19세기부터 외계 행성을 찾았다는 발표가 꽤 있어왔다.그러나 천문학자들은 깊은 검증의 끝에 외계 행성이 있다는 주장들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992년에 들어서야 암석 행성들의 존재가 최초로 제기되었고 검증을 끝에 발표되었다.주계열성을 도는 행성 중 최초로 확인된 행성은 무엇일까?바로 페가수스자리 51을 4일에 한 바퀴 도는 가스 행성 페가수스자리 51 b이다.관측 기술의 향상으로 인해 외계 행성을 많이 발견하게 되었다.확인된 외계 행성 대부분은 목성 또는 해왕성 크기의 가스 행성일 것이라 추측한다.그러나 이 뜻이 가스 행성이 외계 행성들이라는 뜻은 아니다.그러나 무거운 행성들이 더 많이 발견되기 때문에 그렇다.실제로 가스 행성만 있지 않다.상대적으로 가벼운 지구 질량보다 무거운 느낌의 외계 행성들도 많다.그리고 일부는 지구와 비슷한 속성을 지닌 행성들도 있다.그리고 지구보다 작은 질량의 행성들도 속속들이 밝혀지고 있다.갈색 왜성을 도는 외계 행성도 있다.또 어떤 행성에 속하지 않고 우주를 떠돌아 다니는 행성도 있다.그래서 이런 모든 천체들이 행성이라는 명칭으로 이름 붙여질수 없다.일부 행성은 생명체가 거주가능한 영역 안을 돌고 있다.그리고 표면에 액체 물이나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도 크다.그래서 이런 행성들을 발견하면서 외계 생명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외계 생명체가 과연 존재하는 것일까?외계 행성이 생명체가 있을지 없을지 고민하는 것은 행성 거주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이다.이것은 외계 행성 탐사에도 포한되는 영역이다.어미 항성에 비하면 행성들은 아주 어둡다.가시광선 파장에서 이들이 내는 빛은 항성의 백만 분의 일 이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이렇게 흐릿한 빛을 잡아내는 것은 아주 힘들고 까다로운 일이다.어미 별에서 나오는 빛이 가린다.그래서 어미 별의 강한 빛을 가리지만 행성에서 나오는 빛을 남기면서 조사하는 것이 가장 큰 숙제이다.그러나 아직까지 매우 어렵고 기술적으로도 큰 도전 과제이다.그래서 현재의 기술에서 망원경을 이용하여 외계 해성을 찍는 것은 아주 어렵다.행성을 찍는 경우는 매우 이례적이고 예외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찍을 수 있는 경우는 행성의 질량이 커야 한다.목성보다도 커야 한다.또 어미 항성에서 거리가 어느정도 떨어져 있어야 한다.또 적외선 영역에서도 많을 빛을 띄게 내부적인 열도 충분해야 한다.그래서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은 대부분 직접적으로 관측한 것이 아닌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했다.
'우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정보 외계 생명 존재 가설 탐사 알아보기 (0) | 2020.03.10 |
---|---|
우주정보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 b 생명체 거주 가능성 알아보기 (0) | 2020.03.10 |
우주정보 해왕성의 위성 개수 특징 알아보기 (0) | 2020.03.10 |
우주정보 토성의 위성 레아 특징 관측 사진 알아보기 (0) | 2020.03.09 |
우주정보 이오 위성 특징 관측 역사 알아보기 (0) | 2020.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