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우주정보 #우주복 #우주복 특징 #우주복 비밀 #우주복 무게
- #우주정보 #이오 특징 #이오 관측 역사 #이오 표면 #이오 지질 활동
- #우주정보 #우주쓰레기 #우주쓰레기 존재 #우주쓰레기 궤도 #우주쓰레기 연구
- #우주정보 #우주대폭발 #우주대폭발 역사 #우주대폭발 연대기 #우주대폭발 기원
- #우주정보 #웜홀 뜻 #웜홀 설명 #웜홀 속도 #웜홀 움직임
- #우주정보 #위성 레아 특징 #레아 관측 사진 #레아 구조 #레아 충돌구 #레아 이름 유래
- #우주정보 #화성 이름유래 #화성 크기 #화성 온도 #화성 자전주기
- #우주정보 #수성 크기 #수성 질량 #수성 표면 #수성 밀도
- #우주정보 #에리스 특징 #에리스 이름 유래 #에리스 관측자 #에리스 크기
- #우주정보 #우주 속 암흑물질 #암흑물질 특징 #암흑물질 발견자 #암흑물질 정체
- #우주정보 #목성 크기 #목성 구성물질 #목성 핵 #목성 질량
- #우주정보 #외계 행성 존재 가능성 #외계 행성 가설 #외계 행성 탐사 #외계 행성 특징
- #우주정보 #외계행성 #외계행성 발견 #외계행성 역사 #외계행성 특징
- #우주정보 #가니메데 신화 #가니메데 특징 #가니메데 발견 #가니메데 구성요소 #가니메데 크기
- #우주정보 #달 특징 #달 지형 #달 형성과정 #달 구성요소
- #우주정보 #해왕성 대기 #해왕성 특징 #해왕성 위성 #해왕성 이름유래
- #우주정보 #해왕성 위성 #트리톤 특징 #네레이드 특징 #네소 특징 #규칙 위성 #불규칙 위성
- #우주정보 #토성 크기 #토성 공전주기 #토성 밀도 #토성 내부구조 #토성 질량
- #우주정보 #금성 이름유래 #금성 밝기 #금성 온도 #금성 내부구조
- #우주정보 #적색왜성 특징 #적색왜성 존재 #적색왜성 구성 요소 #적색왜성 생명체 거주 가능성
- #우주정보 #세레스 특징 #세레스 발견 #세레스 관측 #세레스 위치
- #우주정보 #명왕성 태양계 퇴출 이유 #명왕성 구성 요소 #명왕성 발견 #명왕성 공전주기
- #우주정보 #별 특징 #별 크기 #별 질량 #별 궤도
- #우주정보 #타이탄 특징 #타이탄 발견 #타이탄 생명체 거주 가능성 #타이탄 색깔
- #우주정보 #칼리스토 특징 #칼리스토 물리적 성질 #칼리스토 구성 #칼리스토 생명체 존재 가능성
- #우주정보 #프록시마 b의 특징 #프록시마 b 발견 #프록시마 b 생명체 거주 가능성 #프록시마 b 구성요소
- #우주정보 #천왕성 거리 #천왕성 발견자 #천왕성 온도 #천왕성 날씨
- #우주정보 #카론 특징 #카론 이름유래 #카론 발견 #카론 크기 #카론 구성요소
- #우주정보 #유로파 크기 #유로파 생명체 존재 가능성 #유로파 발견 #유로파 이름 유래 #유로파 표면
- #우주정보 #지구 형성 과정 #바다 형성 과정 #대기 형성 과정 #지구 특징
- Today
- Total
26초전
우주정보 우주쓰레기 존재 궤도 알아보기 본문
인간이 우주에 진출하면서 가장 문제는 무엇일까? 바로 필연적으로 생기게 된 우주 쓰레기이다. 우주 쓰레기는 인간이 우주에 버리는 모든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우주유영 중이던 우주비행사가 유영 중에 손에서 놓친 공구, 다단식 로켓의 잔해나, 수명이 다해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 인공위성, 우주비행 중이던 인공위성에서 빠져나간 나사나 벗겨져 나간 페인트 조각등 작은 것들도 모두 포함된다. 이런 쓰레기를 사람이 통제하지 못하고 우주에 떠돌면 바로 쓰레기가 되는 것이다. 운동하는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우주 쓰레기가 지구 궤도를 초속 8킬로미터의 무시무시한 속도로 돌고 있다. 따라서 충돌하면 엄청난 충격이 가해질 수 밖에 없다. 각국의 위성 발사가 활발해진 지난 10여 년간 우주쓰레기의 양은 급격히 증가했다. 현재 정확한 수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약 350만 개 이상의 우주쓰레기가 지구 궤도를 떠돌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 중 크기가 1센티미터 이상만 되어도 우주비행중인 인공위성에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위성과 우주쓰레기 문제를 가장 많이 파악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 뿐 아니라 각국은 충돌 위험성이 높은 인공위성의 궤도를 바꾸어 이들 우주쓰레기가 충돌하지 않게 노력중이다. 특히 미 국방부는 우주 물체에 대해 가장 충실한 목록을 보유하고 있다. 큰 우주 쓰레기의 경우 지면까지 내려와 지상을 타격하기도 한다. 그리고 지구 중력에 이끌려 지상으로 떨어지는 우주 쓰레기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대기와의 마찰열로 연소되어 사라진다. 실제로 지난 1969년 일본 선박에 소련 인공위성의 것으로 추정되는 우주 쓰레기가 떨어졌다. 이에 맞아 선원 5명이 부상당한 사고가 있었다. 한편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과 같은 우주쓰레기들은 인공위성들간의 통신에 방해를 준다. 또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 새로운 쓰레기를 만들어 내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우주 쓰레기들을 청소하기 위해 각국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 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도 1,500 킬로미터의 지구 궤도로 궤도변경 시키는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서리 대학 연구진은 매우 큰 크기의 태양 돛을 가진 3킬로그램 중량의 나노위성을 사용해 우주 쓰레기를 치우는 방식을 구상했다. 일본 JAXA는 우주쓰레기의 속도를 줄여 지상으로 떨어뜨려 연소시키는 청소위성을 구상했다. 미국의 NASA에서는 우주 쓰레기에 레이저를 쏴서 경로를 바꾸어 지면에 돌입하도록 하는 방식 등을 구상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우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빨리 우주가 깨끗해지길 바란다. 이상 지금까지 우주쓰레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주쓰레기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
'우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정보 우주복의 특징 비밀 알아보기 (0) | 2020.03.15 |
---|---|
우주정보 우주 속의 암흑물질 정체 특징 알아보기 (0) | 2020.03.14 |
우주정보 우주대폭발 역사 연대기 알아보기 (0) | 2020.03.13 |
우주정보 적색왜성 특징 존재 알아보기 (0) | 2020.03.12 |
우주정보 외계 생명 존재 가설 탐사 알아보기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