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우주정보 #웜홀 뜻 #웜홀 설명 #웜홀 속도 #웜홀 움직임
- #우주정보 #카론 특징 #카론 이름유래 #카론 발견 #카론 크기 #카론 구성요소
- #우주정보 #별 특징 #별 크기 #별 질량 #별 궤도
- #우주정보 #우주복 #우주복 특징 #우주복 비밀 #우주복 무게
- #우주정보 #명왕성 태양계 퇴출 이유 #명왕성 구성 요소 #명왕성 발견 #명왕성 공전주기
- #우주정보 #해왕성 대기 #해왕성 특징 #해왕성 위성 #해왕성 이름유래
- #우주정보 #목성 크기 #목성 구성물질 #목성 핵 #목성 질량
- #우주정보 #달 특징 #달 지형 #달 형성과정 #달 구성요소
- #우주정보 #가니메데 신화 #가니메데 특징 #가니메데 발견 #가니메데 구성요소 #가니메데 크기
- #우주정보 #유로파 크기 #유로파 생명체 존재 가능성 #유로파 발견 #유로파 이름 유래 #유로파 표면
- #우주정보 #프록시마 b의 특징 #프록시마 b 발견 #프록시마 b 생명체 거주 가능성 #프록시마 b 구성요소
- #우주정보 #해왕성 위성 #트리톤 특징 #네레이드 특징 #네소 특징 #규칙 위성 #불규칙 위성
- #우주정보 #에리스 특징 #에리스 이름 유래 #에리스 관측자 #에리스 크기
- #우주정보 #칼리스토 특징 #칼리스토 물리적 성질 #칼리스토 구성 #칼리스토 생명체 존재 가능성
- #우주정보 #금성 이름유래 #금성 밝기 #금성 온도 #금성 내부구조
- #우주정보 #천왕성 거리 #천왕성 발견자 #천왕성 온도 #천왕성 날씨
- #우주정보 #수성 크기 #수성 질량 #수성 표면 #수성 밀도
- #우주정보 #위성 레아 특징 #레아 관측 사진 #레아 구조 #레아 충돌구 #레아 이름 유래
- #우주정보 #적색왜성 특징 #적색왜성 존재 #적색왜성 구성 요소 #적색왜성 생명체 거주 가능성
- #우주정보 #타이탄 특징 #타이탄 발견 #타이탄 생명체 거주 가능성 #타이탄 색깔
- #우주정보 #이오 특징 #이오 관측 역사 #이오 표면 #이오 지질 활동
- #우주정보 #우주 속 암흑물질 #암흑물질 특징 #암흑물질 발견자 #암흑물질 정체
- #우주정보 #화성 이름유래 #화성 크기 #화성 온도 #화성 자전주기
- #우주정보 #지구 형성 과정 #바다 형성 과정 #대기 형성 과정 #지구 특징
- #우주정보 #세레스 특징 #세레스 발견 #세레스 관측 #세레스 위치
- #우주정보 #외계 행성 존재 가능성 #외계 행성 가설 #외계 행성 탐사 #외계 행성 특징
- #우주정보 #외계행성 #외계행성 발견 #외계행성 역사 #외계행성 특징
- #우주정보 #우주대폭발 #우주대폭발 역사 #우주대폭발 연대기 #우주대폭발 기원
- #우주정보 #토성 크기 #토성 공전주기 #토성 밀도 #토성 내부구조 #토성 질량
- #우주정보 #우주쓰레기 #우주쓰레기 존재 #우주쓰레기 궤도 #우주쓰레기 연구
- Today
- Total
26초전
우주정보 해왕성 대기 위성 특징 알아보기 본문
해왕성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가장 끝에 8번째의 행성이라고 할 수 있다.해왕은 바다의 왕이라는 한자에서 유래되었다.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 또는 로마 신화의 넵투누스를 번역한 것이기도 하다.해왕성은 8개 행성 중에서 직경으로는 4번째로 크다.질량으로는 3번째로 크다.해왕성의 질량은 지구의 17배이다.천왕성 역시 질량이 지구의 15배로 천왕성은 해왕성과 쌍둥이 행성이다.그러나 질량은 약간 더 무겁다.해왕성은 맨눈으로 볼 수 없다.경험적으로 눈으로 봐서 관측된 행성이 아니라 수학의 계산으로 발견되었다.따라서 수학적 추측으로 발견된 유일한 태양계의 행성이다.천왕성의 궤도에 예기치 않은 변화가 생겼다.그러자 알레시 부봐르는 천왕성의 궤도가 우리가 알지 못하는 행성의 중력에 힘을 받고 있다고 추론했다.그 후 1840년대에 위르뱅 르베리에가 우리가 알지 못하는 행성의 궤도를 예측했다.1846년에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가 르베리에가 예측했던 위치 범위 안에서 해왕성을 관측했다.얼마 뒤에 해왕성의 제1위성인 트리톤이 발견되었다.그러나 나머지 13개의 위성들은 19세기가 다 지나갔지만 여전히 발견하지 못했다.해왕성을 방문한 우주선은 보이저 2호 하나이다.1989년 8월 25일에 해왕성을 접근하여 유일하게 통과했다.해왕성의 구성 성분은 천왕성과 비슷하다.목성이나 토성 같은 거대 가스 행성들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목성과 토성은 대기에 수소와 헬륨을 대량 포함한다.해왕성의 대기는 아주 극소량의 탄화수소와 질소를 갖는다.물과 암모니아와 메테인 등이 얼어서 생긴 얼음이 대부분을 차지한다.천문학자들은 이런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천왕성과 해왕성을 따로 구분한다.얼음 행성이라고 말이다.해왕성의 내부 구조는 천왕성과 마찬가지로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예측한다.행성의 가장 바깥층에는 메테인이 소량 있어서 메테인은 밝고 푸른 색을 갖게 한다.그래서 해왕성은 밝고 맑은 푸른색이다.표면상에 무색무취 특징이 하나도 없는 천왕성과 달리 해왕성의 대기는 변화무쌍하다.해왕성은 역동적이며 관측 가능한 날씨 변화가 많다.1989년에 보이저 2호는 해왕성 접근하여 통과했다.그 때 해왕성의 남반구에서 목성과 비교할만한 대암반이 발견되었다.이런 기상 현상들은 시속 2100킬로미터 속도를 가진다.태양계에서 가장 강력한 바람으로 추측된다.태양에서 엄청나게 멀리 떨어져 있다.그래서 해왕성의 바깥쪽 대기는 태양계에서 가장 추운 장소라고 추측한다.해왕성이나 천왕성 같은 거대 얼음 행성의 형성 과정은 우리가 정확히 알 수 없다.태양계 외곽부 위치의 태양 성운의 밀도가 아주 낮다.그래서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진 핵 강착 이론으로는 어떻게 거대한 천체가 만들어졌는지 이유를 설명하기 힘들다.그래서 천왕성 및 해왕성과 같은 거대 얼음 행성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가설들이 제시되었다.그 중 하나로 거대 얼음 행성들은 핵 강착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원시 행성계 원반 내에서 불안정하게 형성되었다.그 뒤 근처의 OB형 항성의 복사 에너지가 그 대기를 날려버려 현재의 행성이 형성되었다는 가설이 존재한다.
'우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정보 웜홀 뜻 설명 알아보기 (0) | 2020.02.28 |
---|---|
우주정보 지구 대기 바다의 형성 과정 알아보기 (0) | 2020.02.27 |
우주정보 천왕성 거리 온도 발견자 알아보기 (0) | 2020.02.27 |
우주정보 토성 공전주기 크기 알아보기 (0) | 2020.02.27 |
우주정보 금성 온도 이름유래 밝기 알아보기 (0) | 2020.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