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우주정보 #카론 특징 #카론 이름유래 #카론 발견 #카론 크기 #카론 구성요소
- #우주정보 #칼리스토 특징 #칼리스토 물리적 성질 #칼리스토 구성 #칼리스토 생명체 존재 가능성
- #우주정보 #수성 크기 #수성 질량 #수성 표면 #수성 밀도
- #우주정보 #웜홀 뜻 #웜홀 설명 #웜홀 속도 #웜홀 움직임
- #우주정보 #가니메데 신화 #가니메데 특징 #가니메데 발견 #가니메데 구성요소 #가니메데 크기
- #우주정보 #프록시마 b의 특징 #프록시마 b 발견 #프록시마 b 생명체 거주 가능성 #프록시마 b 구성요소
- #우주정보 #목성 크기 #목성 구성물질 #목성 핵 #목성 질량
- #우주정보 #외계 행성 존재 가능성 #외계 행성 가설 #외계 행성 탐사 #외계 행성 특징
- #우주정보 #우주쓰레기 #우주쓰레기 존재 #우주쓰레기 궤도 #우주쓰레기 연구
- #우주정보 #해왕성 대기 #해왕성 특징 #해왕성 위성 #해왕성 이름유래
- #우주정보 #우주대폭발 #우주대폭발 역사 #우주대폭발 연대기 #우주대폭발 기원
- #우주정보 #천왕성 거리 #천왕성 발견자 #천왕성 온도 #천왕성 날씨
- #우주정보 #세레스 특징 #세레스 발견 #세레스 관측 #세레스 위치
- #우주정보 #타이탄 특징 #타이탄 발견 #타이탄 생명체 거주 가능성 #타이탄 색깔
- #우주정보 #우주복 #우주복 특징 #우주복 비밀 #우주복 무게
- #우주정보 #지구 형성 과정 #바다 형성 과정 #대기 형성 과정 #지구 특징
- #우주정보 #우주 속 암흑물질 #암흑물질 특징 #암흑물질 발견자 #암흑물질 정체
- #우주정보 #에리스 특징 #에리스 이름 유래 #에리스 관측자 #에리스 크기
- #우주정보 #토성 크기 #토성 공전주기 #토성 밀도 #토성 내부구조 #토성 질량
- #우주정보 #별 특징 #별 크기 #별 질량 #별 궤도
- #우주정보 #적색왜성 특징 #적색왜성 존재 #적색왜성 구성 요소 #적색왜성 생명체 거주 가능성
- #우주정보 #명왕성 태양계 퇴출 이유 #명왕성 구성 요소 #명왕성 발견 #명왕성 공전주기
- #우주정보 #이오 특징 #이오 관측 역사 #이오 표면 #이오 지질 활동
- #우주정보 #금성 이름유래 #금성 밝기 #금성 온도 #금성 내부구조
- #우주정보 #외계행성 #외계행성 발견 #외계행성 역사 #외계행성 특징
- #우주정보 #해왕성 위성 #트리톤 특징 #네레이드 특징 #네소 특징 #규칙 위성 #불규칙 위성
- #우주정보 #화성 이름유래 #화성 크기 #화성 온도 #화성 자전주기
- #우주정보 #위성 레아 특징 #레아 관측 사진 #레아 구조 #레아 충돌구 #레아 이름 유래
- #우주정보 #달 특징 #달 지형 #달 형성과정 #달 구성요소
- #우주정보 #유로파 크기 #유로파 생명체 존재 가능성 #유로파 발견 #유로파 이름 유래 #유로파 표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0)
26초전

인간이 우주에 진출하면서 가장 문제는 무엇일까? 바로 필연적으로 생기게 된 우주 쓰레기이다. 우주 쓰레기는 인간이 우주에 버리는 모든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우주유영 중이던 우주비행사가 유영 중에 손에서 놓친 공구, 다단식 로켓의 잔해나, 수명이 다해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 인공위성, 우주비행 중이던 인공위성에서 빠져나간 나사나 벗겨져 나간 페인트 조각등 작은 것들도 모두 포함된다. 이런 쓰레기를 사람이 통제하지 못하고 우주에 떠돌면 바로 쓰레기가 되는 것이다. 운동하는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우주 쓰레기가 지구 궤도를 초속 8킬로미터의 무시무시한 속도로 돌고 있다. 따라서 충돌하면 엄청난 충격이 가해질 수 밖에 없다. 각국의 위성 발사가 활발해진 지난 10여 년간 우주쓰레기의 양..

우주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와는 많이 다르다.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대기압이 작용하지 않는다. 빠른 속도로 날아다니는 우주먼지들과 각종 전자파 및 방사능들이 존재한다. 또한 태양열에 의해 고온과 저온이 반복된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우주인들이 어떻게 임무를 수행하고 우주공간을 다닐 수 있을까? 그것은 최첨단 우주복 덕분이다. 우주복은 내부 압력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준다.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며 산소를 공급한다. 우주 비행사와 비행선과 통신이 연결된다. 또 다양한 방해요건들 이를테면 태양복사열이나 자외선 우주먼지 등으로부터 우주인을 보호한다. 인간은 사실 굉장히 우주의 조건들에 약한 존재이다. 만약 고도 9킬로미터만 올라간다면 바로 죽을수도 있다. 질소가 혈액으로 들어가면 피가 흐르지않는다. 만약 인간..

프리츠 츠비키라는 과학자는 그리 유명하지 않다. 츠비키는 1930년대 스위스인 부모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주장은 중성자별의 발견을 가져왔다. 보통의 별보다 훨씬 큰 별이 있고 그 큰 별이 폭발과 함께 붕괴된다. 그리고 붕괴 이후 밀도가 높은 별이 만들어진다는 주장을 했다. 그는 폭발하는 동안 짧게 빛나는 별을 초신성이라고 했다. 즉 초신성의 폭발은 밀도가 높은 별이고 이것이 중성자별이라는 놀라운 발견을 했다. 츠비키는 왜 유명하지 않을까? 츠비키는 성격이 다소 괴팍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타인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우주의 팽창을 믿지 못하기 때문인 것도 있다. 츠비키는 동료들을 둥근 잡종이라고 했다. 또한 다른 과학자들을 쉽게 모욕했다. 그러나 츠비키가 죽고 나서 사후에 점점 유명해지고 있다. 왜냐..

우주의 기원은 어디서 왔을까? 오늘은 우주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우주의 처음을 설명하는 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대폭발은 우주의 처음을 설명하는 우주론 모형 중 하나이다. 대폭발 이론에 따라서 우주를 설명해보자. 폭발하기 전에 오늘날 우주에 있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작은 점에 갇혀 있었다. 그러나 폭발 순간 작은 점에서 높은 에너지를 가진 작은 물질과 공간들은 점점 떨어졌다. 이 물질과 에너지는 은하계와 은하계 내무의 천체를 만들었다. 약 137억년전 이 거대한 폭발을 통해 현재의 우주가 되었다. 이 이론은 에드윈 허블의 관측 결과를 따른다. 에드윈 허블은 은하가 지구에서 떨어져 있는 만큼 더 빠르게 달아난다고 말한다. 즉 은하의 이동 속도가 지구와의 거리와 비례한다고 보면 된다. 에드윈 허블은 ..

적색왜성은 작고 차갑다.헤르츠스프룽 러셀 도표에서 적색 왜성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다.스펙트럼형은 어두운 K형으로부터 M형까지이다.표면온도는 3800켈빈을 넘지 않는다.우주에 있는 별들의 약 90퍼센트 정도가 적색왜성이다.어떤 예측에 따르면 은하수의 4분의 3 가량은 적색왜성으로 되어있다.이처럼 적색왜성은 은하계의 가장 흔한 별이다.그러나 광도가 낮아서 적색왜성을 관측하기 쉽지 않다.실제로 지구에서 눈으로 직접 볼수 있는 적색왜성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이론적으로 항성모델에 의한다.적색왜성은 태양질량보다 0.35배 작다.모든부분이 대류의 형태로 전달된다.따라서 헬륨은 별의 내부의 수소 열역학적 핵의 합성을 통해 만들어진다.다른별과는 다르게 중심부 핵을 만들지 않는다.따라서 적색왜성은 아주 느리게 진화한..

외계생명은 지구가 아닌 공간에 사는 생명을 지닌 존재를 가리킨다.다른 명칭으로 외계생물 또는 사람에 빗댄 외계인 등이 있다.지구 상의 생명체는 탄소 화합물과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화학 반응에 기저한다.이들 원소의 풍부함과 유용함은 외계의 생명체도 비슷한 방식을 사용한다고 추측된다.탄소 대신 실리콘이나 물 대신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대체생화학도 있다.생명체가 사용하는 에너지의 근원은 항성의 열이다.그 외에 무엇이 있을까?행성 내부의 열도 있을 수 있다.또한 기조력에 의한 마찰열을 에너지원으로 할 수도 있다.학자들은 각 행성들마다의 기후 및 대기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가능성을 토대로 한다.그래서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여러가지 모습의 외계인을 표현하기도 한다.세계에서 가장 먼저 외계 생명의 존재를..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 b는 태양에서 가장 가깝다.그리고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내를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다.센타우루스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4.2 광년 떨어져 있다.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이기도 하다.모항성에서 프록시마 b까지의 거리는 750만 킬로미터 또는 460만 마일이다.b는 11.2 일을 1 주기로 프록시마를 공전하고 있다.예상되는 b의 질량은 지구의 최소 1.3 배라고 한다.이 행성은 지구가 받는 태양풍 강도의 약 2000 배에 해당되는 항성풍 압력을 받고 있다.그러나 b의 생명체 거주 가능성 여부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2016년 8월 이 행성의 발견이 발표되었다.시선 속도법은 어머니 항성의 분광선에 나타나는 주기적인 도플러 이동으로부터 행성의 존재를 추정하는 것이다.프록시..

외계 행성 또는 계외 행성은 태양계 밖의 행성이다.보통 행성은 태양을 공전하는 행성을 말한다.그러나 외계행성은 태양이 아닌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을 말한다.지금까지 3800여 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2018년 6월 23일 기준을 말한다.행성계 2840개에서 행성 3796개이다.이 중 다중행성계는 632개이다.모두 우리 은하 내에 있다.우리 은하에만 수십억 개의 행성이 존재하는 것이 유력한 의견이다.대부분 항성을 돌고 있다.그러나 아주 소수는 홀로 우주 공간을 움직이는 떠돌이 행성이다.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 지구와 가장 가까운 것은 무엇일까?바로 프록시마 b이다.수 세기에 걸쳐 많은 철학자와 과학자들은 외계 행성을 주장했다.반드시 외계 행성이 있을수 밖에 없다고 주장해왔다.그러나 이들의..

해왕성은 위성 14개가 있다.14개에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이름이 지어졌다.위성들 중에 크기가 가장 큰 위성은 트리톤이다.해왕성은 윌리엄 라셀이 발견했다.그리고 발견한지 17일이 지나서 1846년 10월 10일에 위성을 발견하게 된다.첫번째 위성이 발견되고 두 번째 위성은 상당히 늦게 발견되었다.두 번째 위성의 이름은 네레이드로 첫 번째 위성 발견 이후로 무려 백년이 지난 후였다.해왕성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위성은 네소이다.네소의 공전 주기는 율리우스력을 기준으로 한다.약 26년으로 태양계에 있는 위성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공전하는 위성이라 할 수 있다.트리톤은 공전 궤도가 해왕성의 자전과 반대이다.또한 해왕성 적도면에서 상당히 기울어져 있다.행성급 질량을 지닌 위성들 중에서도 특이한 편..

레아는 토성의 위성 중 두 번째로 크다.태양계의 위성 중 아홉 번째로 크다.레아의 발견자는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이다.1672년에 발견했다.레아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따왔다.거인족 티탄인 레아가 있는데 거기에서 따왔다.카시니는 루이 14세를 찬양했다.그래서 찬양의 의미에서 자신이 발견한 4개 위성에 루이를 따왔다.4개 위성의 이름은 테티스,디오네,레아,이아페투스인데 모두 루이의 별들이라는 뜻이다.이 이름들은 모두 천문학자들이 자주 부르게 되었다.토성의 위성 7개의 이름은 존 허셜이 지었다.존 허셜은 1847년 희망봉에서 작성된 천문 관측 결과라는 책을 썼다.그 책에서 존 허셜은 그리스 신화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했다.티탄족 크로노스의 딸과 형제들의 이름을 붙였다.밀도로 볼 때 레아는 25퍼센트의 암석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