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26초전

우주정보 금성 온도 이름유래 밝기 알아보기 본문

우주정보

우주정보 금성 온도 이름유래 밝기 알아보기

반지상 2020. 2. 27. 09:20

 로마 신화에서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여신은 베누스이다.금성은 이 베누스에서 따온 이름이다.영어로는 비너스라고 한다.루시퍼도 금성을 뜻하는 단어이다.그리스 신화 속 이야기에서는 이 별을 포스포로스 또는 헤스페로스라고 불렀다.현대 그리스어로는 아프로디티 라고 부른다.터키어로는 쥐흐레 혹은 초반이을드즈 라고 부른다.뜻은 목동별이다.목동별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목동들이 금성이 하늘에 뜰 무렵에 깨어나 양떼를 이끌고 고원으로 올라갔다.해가 지고 다시 금성이 뜨면 집으로 돌아갔다고 한다.기독교에서는 라틴어로 빛을 가져오는 루시퍼라고 불리기도 한다.불교에서는 석가모니가 금성이 빛나는 것을 보고 진리를 발견했다고 전해진다.한자 문화권에서 금성은 음양오행 중 하나인 금에서 유래했다.이전에는 태백 등으로도 부르기도 했다.다른 한자명으로 계명성이라고도 하기도 한다.일본에서는 과거 하지로보시라고 부른다.한국에서는 샛별.개밥바라기 등등의 명칭으로 부른다.보통 새벽에 뜬 금성을 샛별이라고 부른다.해질녘에 밝게 빛나는 금성을 태백성이라고 부른다.지구에서 볼 수 있는 행성들 중에서 3번째로 밝은 행성이다.첫 번째는 태양,두 번째는 달이다.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별들 중에서는 가장 밝은 행성이다.가장 밝을 때의 금성은 겉보기 등급이 높다.가장 밝은 행성인 시리우스보다 25배 이상 밝다고 알려져 있다.색깔은 매우 밝은 노란색이다.따라서 매우 화려하게 보인다.비너스나 루시퍼 처럼 아름다운 이름으로 불려지는 이유이다.자전 주기는 243일이며,공전 주기는225일 이다.공전보다 자전이 늦다.그리고 거꾸로 자전하기도 한다.그래서 금성에서는 사람들이 농담으로 이야기하는 말이 있다.정말로 해가 서쪽에서 뜬다는 말이다.재미있게도 금성의 태양일은 지구와 금성의 회합 주기의 5분의 1과 매우 정확히 일치한다.이것이 지구의 알 수 없는 영향으로 궤도 공명 형상이 일어난 것인지 아니면 순전히 우연의 일치인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지구형 행성인 금성은 크기와 화학 조성이 지구와 매우 비슷하다.지구의 자매 행성 같기도 하다.금성의 표면은 반사도가 높은 투명하지 않은 구름으로 덮여있다.그래서 가시광을 통해서 표면을 관찰할 수 없다.20세기에 들어와 행성 과학자들이 그 비밀을 풀었다.금성은 지구형 행성 중에서 제일 빽빽한 대기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대기의 주성분은 이산화탄소이다.표면에서의 대기압은 95기압이다.금성의 내부 구조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는 없다.크기와 밀도가 지구와 유사하다.금성의 내부구조 또한 지구와 마찬가지로 핵과 맨틀과 지각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추측한다.지구와 마찬가지로 금성의 핵 역시 소량은 액체로 남아있다.

Comments